여행정보

용마산 348M 서울 중량구 광진구 경기 구리

kwakkwak 2011. 5. 26. 14:53
반응형

 


천보산


아차산의 원래이름은 아단산으로 추정되며 삼국시대에 이곳에 아단성을 쌓았다고 한다. 아단을 아차로 바꾼데이는 조선 태조 이성계가 왕이 된후 이름을 아단으로 바꾸자 임금의이름과 같은 글자를 피하려는의도에 단과 비슷한모양의 차로 바꾸엇다고 설이있음.
용마산에는 아기장수 전설이 전해지는데, 삼국시대에는 장사가 태어나면 가족을 모두 역적으로 몰아 죽이는 때가 있었다고 한다. 백제와 고구려의 경계였던 이곳에서 장사가 될 재목의 아기가 태어났는데, 걱정하던 부모가 아기를 죽여버렸으며 그뒤 용마봉에서 용마가 나와 다른 곳으로 날아간 데서 용마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는 조선시대 산 아래에 말 목장이 많아 용마가 태어나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용마산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도 한다.아차산(285) 용마봉은 남행산이라고도 불리며 삼국시대에 건축된 아차산성이 있다.

 

아차산성은 일명 아차성 또는 아차산성, 장한성, 광장성이라고도 불린다. 이곳은 삼국시대의 매우 중요한 요새였다. 고구려의 광개토왕이 390년에 한강 남쪽에 자리한 백제의 도읍을 함락시킨 이래 신라 무열왕이 675년에 한반도를 통일할 때까지 260여년 동안 이곳 장한성과 강 건너 풍납성을 중심으로 한 넓은 산과 들은 신라, 고구려, 백제 세 나라가 서로 확보하려고 싸움을 벌이던 무대였다.

광진구의 동북 경계를 이루며, 예로부터 중랑천 지역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고구려가 전쟁에 대비해 만든 소규모 요새지인 보루 유적이 있다. 1970년대 들어 서울특별시가 아차산과 용마봉 일대에 아차산공원·용마공원,용마돌산공원 등 도시자연공원을 조성하였다.

 


제1코스

동의초교--> 아차산입구--> 아차산정상( 출입금지)--> 제4부루성 --> 헬기장 --> 용마산--> 팔각정,대원외국어교

제2코스

광나루역 --> 광장중학교 --> 장로회신학대학 --> 아차산공원

제3코스

용마산역--> 현대아이파크--> 용마폭포공원--> 팔각정-- > 용마봉

제4코스

사가정역--> 한신아파트--> 중랑체육공원(사가정공원) --> 용마제1약수터-->깔딱고개(망우묘지옆)-->용마봉

▶ 5호선 아차산역 2번출구 --직진하여 사거리 좌측으로 가시면 영화사길. 동의초교 곧 아차산입구입니다.
▶ 5호선 광나루역 1 , 2번출구 --광장중학교 , 장로신학대학방향으로가시면 아차공원, 아차산성으로산행.
▶ 7호선 용마산역 2번출구-- 현대아이파크옆길로 올라가시면 용마공원.
                                           또는 2번출구옆아파트에 면목사회복지관 팻말따라가시면바로 폭포공원입니다.
▶7호선사가정역4번출구에서 중랑체육공원(한신아파트)방향으로직진.

 

지도1  지도2
 


▶ 지하철 5호선 아차산역 2번출구 , 광나루역 2번출구
▶ 7호선 용마산역 2 번출구, 사가정역4번출구
     


광진구
 



아차산공원입구


아차산암릉


아차산정상

아차산4보루성터

용마산

용마산2보루성터


중랑천멀리 한강

 

반응형